제품 카테고리 |
CVE 번호 |
CVE 제목 |
Microsoft Edge (Chromium-based) |
CVE-2025-5419 |
Chromium: CVE-2025-5419 V8에서 범위를 벗어난 읽기와 쓰기 |
Microsoft Edge (Chromium-based) |
CVE-2025-5283 |
Chromium: CVE-2025-5283 Use after free in libvpx |
Microsoft Edge (Chromium-based) |
CVE-2025-5281 |
Chromium: CVE-2025-5281 Inappropriate implementation in BFCache |
Microsoft Edge (Chromium-based) |
CVE-2025-5280 |
Chromium: CVE-2025-5280 Out of bounds write in V8 |
Microsoft Edge (Chromium-based) |
CVE-2025-5068 |
Chromium: CVE-2025-5068 Blink에서 UaF(Use after free) |
Microsoft Edge (Chromium-based) |
CVE-2025-5067 |
Chromium: CVE-2025-5067 Inappropriate implementation in Tab Strip |
Microsoft Edge (Chromium-based) |
CVE-2025-5066 |
Chromium: CVE-2025-5066 Inappropriate implementation in Messages |
Microsoft Edge (Chromium-based) |
CVE-2025-5065 |
Chromium: CVE-2025-5065 Inappropriate implementation in FileSystemAccess API |
Microsoft Edge (Chromium-based) |
CVE-2025-5064 |
Chromium: CVE-2025-5064 Inappropriate implementation in Background Fetch API |
Microsoft Edge (Chromium-based) |
CVE-2025-5063 |
Chromium: CVE-2025-5063 Use after free in Compositing |
Nuance Digital Engagement Platform |
CVE-2025-47977 |
Nuance 디지털 참여 플랫폼 스푸핑 취약성 |
Windows Hello |
CVE-2025-47969 |
Windows 가상화 기반 보안(VBS) 보안 기능 바이패스 취약성 |
Microsoft AutoUpdate (MAU) |
CVE-2025-47968 |
MAU(Microsoft 자동 업데이트) 권한 상승 취약성 |
Power Automate |
CVE-2025-47966 |
Power Automate 권한 상승 취약성 |
Windows SDK |
CVE-2025-47962 |
Windows SDK 권한 상승 취약성 |
Visual Studio |
CVE-2025-47959 |
Visual Studio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 |
Microsoft Office Word |
CVE-2025-47957 |
Microsoft Word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 |
Windows Security App |
CVE-2025-47956 |
Windows 보안 앱 스푸핑 취약성 |
Windows Remote Access Connection Manager |
CVE-2025-47955 |
Windows 원격 액세스 연결 관리자 권한 상승 취약성 |
Microsoft Office |
CVE-2025-47953 |
Microsoft Office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 |
Microsoft Edge (Chromium-based) |
CVE-2025-47181 |
Microsoft Edge(Chromium 기반) 업데이트 권한 상승 취약성 |
Microsoft Office Outlook |
CVE-2025-47176 |
Microsoft Outlook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 |
Microsoft Office PowerPoint |
CVE-2025-47175 |
Microsoft PowerPoint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 |
Microsoft Office Excel |
CVE-2025-47174 |
Microsoft Excel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 |
Microsoft Office |
CVE-2025-47173 |
Microsoft Office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 |
Microsoft Office SharePoint |
CVE-2025-47172 |
Microsoft SharePoint Server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 |
Microsoft Office Outlook |
CVE-2025-47171 |
Microsoft Outlook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 |
Microsoft Office Word |
CVE-2025-47170 |
Microsoft Word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 |
Microsoft Office Word |
CVE-2025-47169 |
Microsoft Word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 |
Microsoft Office Word |
CVE-2025-47168 |
Microsoft Word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 |
Microsoft Office |
CVE-2025-47167 |
Microsoft Office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 |
Microsoft Office SharePoint |
CVE-2025-47166 |
Microsoft SharePoint Server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 |
Microsoft Office Excel |
CVE-2025-47165 |
Microsoft Excel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 |
Microsoft Office |
CVE-2025-47164 |
Microsoft Office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 |
Microsoft Office SharePoint |
CVE-2025-47163 |
Microsoft SharePoint Server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 |
Microsoft Office |
CVE-2025-47162 |
Microsoft Office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 |
|
CVE-2025-47161 |
Microsoft Defender for Endpoint Elevation of Privilege Vulnerability |
Windows Shell |
CVE-2025-47160 |
Windows 바로 가기 파일 보안 기능 바이패스 취약성 |
Microsoft Edge (Chromium-based) |
CVE-2025-4664 |
Chromium: CVE-2025-4664 Insufficient policy enforcement in Loader |
Microsoft Edge (Chromium-based) |
CVE-2025-4609 |
Chromium: CVE-2025-4609 Incorrect handle provided in unspecified circumstances in Mojo |
Windows Installer |
CVE-2025-33075 |
Windows Installer 권한 상승 취약성 |
Windows SMB |
CVE-2025-33073 |
Windows SMB 클라이언트 권한 상승 취약성 |
Windows KDC Proxy Service (KPSSVC) |
CVE-2025-33071 |
Windows KDC 프록시 서비스(KPSSVC)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 |
Windows Netlogon |
CVE-2025-33070 |
Windows Netlogon 권한 상승 취약성 |
App Control for Business (WDAC) |
CVE-2025-33069 |
Windows Business용 앱 컨트롤 보안 기능 바이패스 취약성 |
Windows Standards-Based Storage Management Service |
CVE-2025-33068 |
Windows 표준 스토리지 관리 서비스 서비스 거부 취약성 |
Windows Kernel |
CVE-2025-33067 |
Windows 작업 스케줄러 권한 상승 취약성 |
Windows Routing and Remote Access Service (RRAS) |
CVE-2025-33066 |
Windows RRAS(Routing and Remote Access Service)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 |
Windows Storage Management Provider |
CVE-2025-33065 |
Windows 저장소 관리 공급자 정보 공개 취약성 |
Windows Routing and Remote Access Service (RRAS) |
CVE-2025-33064 |
Windows RRAS(Routing and Remote Access Service)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 |
Windows Storage Management Provider |
CVE-2025-33063 |
Windows 저장소 관리 공급자 정보 공개 취약성 |
Windows Storage Management Provider |
CVE-2025-33062 |
Windows 저장소 관리 공급자 정보 공개 취약성 |
Windows Storage Management Provider |
CVE-2025-33061 |
Windows 저장소 관리 공급자 정보 공개 취약성 |
Windows Storage Management Provider |
CVE-2025-33060 |
Windows 저장소 관리 공급자 정보 공개 취약성 |
Windows Storage Management Provider |
CVE-2025-33059 |
Windows 저장소 관리 공급자 정보 공개 취약성 |
Windows Storage Management Provider |
CVE-2025-33058 |
Windows 저장소 관리 공급자 정보 공개 취약성 |
Windows Local Security Authority (LSA) |
CVE-2025-33057 |
Windows LSA(로컬 보안 기관) 서비스 거부 취약성 |
Microsoft Local Security Authority Server (lsasrv) |
CVE-2025-33056 |
Windows LSA(로컬 보안 기관) 서비스 거부 취약성 |
Windows Storage Management Provider |
CVE-2025-33055 |
Windows 저장소 관리 공급자 정보 공개 취약성 |
WebDAV |
CVE-2025-33053 |
WebDAV(Web Distributed Authoring and Versioning)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 |
Windows DWM Core Library |
CVE-2025-33052 |
Windows DWM 코어 라이브러리 정보 공개 취약성 |
Windows DHCP Server |
CVE-2025-33050 |
DHCP Server Service 서비스 거부 취약성 |
Windows DHCP Server |
CVE-2025-32725 |
DHCP Server Service 서비스 거부 취약성 |
Windows Local Security Authority Subsystem Service (LSASS) |
CVE-2025-32724 |
로컬 보안 기관 하위 시스템 서비스(LSASS) 서비스 거부 취약성 |
Windows Storage Port Driver |
CVE-2025-32722 |
Windows 저장소 포트 드라이버 정보 공개 취약성 |
Windows Recovery Driver |
CVE-2025-32721 |
Windows Recovery Driver 권한 상승 취약성 |
Windows Storage Management Provider |
CVE-2025-32720 |
Windows 저장소 관리 공급자 정보 공개 취약성 |
Windows Storage Management Provider |
CVE-2025-32719 |
Windows 저장소 관리 공급자 정보 공개 취약성 |
Windows SMB |
CVE-2025-32718 |
Windows SMB 클라이언트 권한 상승 취약성 |
Microsoft Office Word |
CVE-2025-32717 |
Microsoft Word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 |
Windows Media |
CVE-2025-32716 |
Windows Media 권한 상승 취약성 |
Remote Desktop Client |
CVE-2025-32715 |
원격 데스크톱 프로토콜 클라이언트 정보 유출 취약성 |
Windows Installer |
CVE-2025-32714 |
Windows Installer 권한 상승 취약성 |
Windows Common Log File System Driver |
CVE-2025-32713 |
Windows 공용 로그 파일 시스템 드라이버 권한 상승 취약성 |
Windows Win32K - GRFX |
CVE-2025-32712 |
Win32k 권한 상승 취약성 |
Windows Remote Desktop Services |
CVE-2025-32710 |
Windows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 |
Windows Ancillary Function Driver for WinSock |
CVE-2025-32709 |
WinSock용 Windows 보조 기능 드라이버 권한 상승 취약성 |
Windows Secure Boot |
CVE-2025-3052 |
Cert CC: CVE-2025-3052 InsydeH2O 보안 부팅 바이패스 |
.NET and Visual Studio |
CVE-2025-30399 |
.NET 및 Visual Studio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 |
Remote Desktop Gateway Service |
CVE-2025-30394 |
Windows RD 게이트웨이(원격 데스크톱 게이트웨이) 서비스 거부 취약성 |
Microsoft Office Excel |
CVE-2025-30381 |
Microsoft Excel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 |
Microsoft Office Excel |
CVE-2025-30376 |
Microsoft Excel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 |
Microsoft PC Manager |
CVE-2025-29975 |
Microsoft PC Manager 권한 상승 취약성 |
Web Threat Defense (WTD.sys) |
CVE-2025-29971 |
Web Threat Defense(WTD.sys) 서비스 거부 취약성 |
Windows Cryptographic Services |
CVE-2025-29828 |
Windows Schannel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 |
.NET, Visual Studio, and Build Tools for Visual Studio |
CVE-2025-26646 |
.NET, Visual Studio, 및 Build Tools for Visual Studio 스푸핑 취약성 |
Windows Storage Management Provider |
CVE-2025-24069 |
Windows 저장소 관리 공급자 정보 공개 취약성 |
Windows Storage Management Provider |
CVE-2025-24068 |
Windows 저장소 관리 공급자 정보 공개 취약성 |
Windows Storage Management Provider |
CVE-2025-24065 |
Windows 저장소 관리 공급자 정보 공개 취약성 |
Windows Update Stack |
CVE-2025-21204 |
Windows Process Activation 권한 상승 취약성 |
Windows Standards-Based Storage Management Service |
CVE-2025-21174 |
Windows 표준 스토리지 관리 서비스 서비스 거부 취약성 |
Visual Studio |
CVE-2024-29187 |
GitHub: CVE-2024-29187 WiX Burn 기반 번들은 시스템으로 실행될 때 바이너리 하이재킹에 취약 |
Windows Secure Kernel Mode |
CVE-2024-21302 |
Windows 보안 커널 모드 권한 상승 취약성 |
Windows Secure Boot |
CVE-2023-40547 |
Redhat: CVE-2023-40547 Shim - HTTP 부팅 지원의 RCE로 인해 보안 부팅 바이패스가 발생할 수 있음 |
Windows Secure Boot |
CVE-2022-2601 |
Redhat: CVE-2022-2601 grub2 - grub_font_construct_glyph()의 버퍼 오버플로로 인해 범위를 벗어난 쓰기 및 보안 부팅 바이패스가 발생할 수 있음 |